애플페이 사용법 및 사용처
- 모바일/Apple
- 📚 to read
2014년 10월 20일에 미국에서 처음 출시되었던 애플페이는 2023년 3월 21일, 현대카드를 통해 대한민국에 애플페이가 공식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애플페이가 최초 출시된 지 거의 10년만에 애플페이가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는데요. 아이폰의 사용자가 점점 증가하면서 애플페이 도입에 관한 소식도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애플페이 사용방법과 사용처, 그리고 여러 궁금하신 사안들에 대한 QnA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먼저 오프라인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기기는 아이폰과 애플워치 입니다. 두 기기 모두 카드를 등록해 두면 인터넷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도 애플페이를 통한 결제를 할 수 있습니다. 맥북과 아이패드에서는 온라인 결제만 가능합니다.
여기에서 오프라인 결제는 편의점, 마트, 식당, 커피숍 등 실물 카드로 결제하는 매장으로 생각하시면 되고. 온라인 결제는 인터넷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 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애플페이 결제를 지원하는 배달의민족 결제화면의 모습(온라인 결제)
기기 | 오프라인 결제 | 온라인 결제 | 비고 |
아이폰(iPhone) | O | O | - iOS 8.1 이상 - Touch ID 또는 Face ID 기능이 있는 iPhone 모델 - 인터넷 연결 없이 오프라인 결제 가능 |
아이패드(iPad) | X | O | - 온라인 결제만 가능 |
애플워치(Apple Watch) | O | O | - 인터넷 연결 없이 오프라인 결제 가능 |
맥(mac) | X | O | - 온라인 결제만 가능 - macOS Sierra 이상 |
간편결제의 유행으로 "페이 전성시대"라고도 하죠. 오늘날 대한민국만 봐도 삼성페이부터 LG페이, 제로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여러 페이들이 출시되어있으며 각각 사용 방법도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서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페이인 삼성페이와 LG페이는 서비스 중인데, 애플페이는 대한민국에서는 도입이 늦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결제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결제 방법에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QR코드/바코드, IC/MS, RF(NFC)인데요. 삼성페이와 LG페이는 가상으로 마그네틱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MST(마그네틱 보안 전송)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애플페이는 두 페이와 다르게 RF라는 별도의 규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교통카드와 비슷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IC카드와 마그네틱을 이용해 결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 애플페이가 서비스 중인 여러 지역에서는 RF결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래에 표를 통해 간단하게 결제 방법을 정리해두었습니다. 관심이 없으시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결제 방법 | QR/바코드 | IC/MS | RF(NFC) |
설명 | QR코드와 바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페이(Pay) 사와 계약을 맺은 경우 사용이 가능합니다. | 일반적으로 신용카드에 부착되어있는 IC칩과 마그네틱으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삼성페이와 LG페이에서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출입증 카드를 찍는 것 처럼 카드를 태그하여 결제하는 방법입니다. 이번에 도입되는 애플페이는 RF결제 방식입니다. |
예시 | ![]() ▲ 카카오페이(바코드) ![]() ▲ 네이버페이(QR) |
![]() ▲ 카드의 IC 칩 ![]() ▲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 - 삼성페이와 LG페이는 MST기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마그네틱 신용카드의 정보를 전송해서 결제합니다. |
![]() ▲ 컨택리스 로고가 삽입된 카드 - 카드에 옆으로 누운 와이파이 로고가 있으면 컨택리스(RF)결제가 가능하다. ![]() ▲ 롯데마트에 있는 비접촉 결제단말기 - 컨택리스 로고(옆으로 누운 와이파이)에 카드를 올리는 모양이 있는 경우 비접촉 결제가 가능하다. |
RF결제가 IC/MS결제보다 좋은 장점은 뛰어난 보안성과 빠른 결제, 해외에서도 다양하게 결제 가능(글로벌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애플페이만의 장점으로도 보자면 지갑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RF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에서는 결제가 가능하고, 애플워치에서도 결제가 되니 편리할 수 있겠죠. 웨어러블 결제같은 경우 삼성페이는 기어 S3 모델에서만 지원하며 그 이후에는 아직 국내 갤럭시워치에서 삼성페이를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애플페이에 카드 등록하는 방법
애플페이에 카드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애플페이 등록 불가 카드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리스트에서 등록가능여부를 확인하신 후 등록이 가능하다면 애플페이에 카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아직 애플페이는 현대카드밖에 지원하지 않습니다. 타 카드사의 카드를 등록하려고 할 경우 "카드 발급처에서 아직 이 카드를 지원하지 않음" 과 같은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구분 | 등록가능여부 | 비고 [ 23/03/15 최종 업데이트 ] |
신용/체크 | O | 아래 등록가능여부 확인 필요 ▶예시 - 마스터 신용카드는 등록이 가능하나, 아멕스 신용카드는 등록 불가함 |
선불/GIFT | X | |
국내전용 | O | 국내 전용 카드는 해외 결제가 불가하거나 해외에서 결제 시 수수료가 청구될 수 있음. |
![]() 비자카드(VISA) |
O | |
![]() 마스터카드(Master) |
O | |
![]() 아멕스(AMEX) |
X | |
![]() 다이너스(Diners) |
X | |
![]() 중국은련(UnionPay) |
X | |
후불하이패스 | X | |
카멜레온(Chameleon) | X | KB국민카드의 알파원 카드와 비슷한 카드로, 여러 장의 현대카드를 한 장에 담아 바꾸어 쓸 수 있는 카드입니다. (2022년 5월 26일부로 신규발급 중단/카드정보 확인) |
택시/화물차 유가보조금카드 | X | |
법인카드 | X | |
법인카드(개인명의) | X |
보유한 카드가 등록이 가능한 카드라면 이제 애플페이에 카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카드의 간편등록 기능을 이용하면 말 그대로 간편하게 애플페이에 현대카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 앱을 준비해 주세요.
1. 현대카드 앱에 로그인 후 메뉴 리스트를 눌러 내 카드 관리 → 간편결제 카드 등록 → Apple Wallet 안에 추가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2. Apple Pay에 카드 추가 팝업이 뜨면 애플페이에 카드를 추가할 수 있는 기기가 노출됩니다. 아이폰에 애플페이를 등록한다고 가정했을 때는 아이폰을 누르고, 애플워치에 애플페이를 추가하려한다면 애플워치를 누르면 됩니다. 이름과 카드번호 끝자리를 확인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3. 다음 버튼을 누르면 순서대로 카드 발급처와 연결된 후 통신 중으로 뜨고, 이용 약관이 뜹니다. 이용 약관을 확인하신 후 동의를 눌러주세요.
4. 이용약관 동의 후 카드 설정이 진행되고 카드가 추가됩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기본 카드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물어보는데요, 애플페이를 사용할 때 추가한 카드를 사용하려면 기본 카드로 사용을 누르면 됩니다.
아이폰에서 애플페이로 결제 하는 방법
아이폰에서 애플페이로 결제하려면 전원버튼을 빠르게 두 번 눌러주세요. 첫 번째 사진처럼 카드가 선택되면 Face ID/Touch ID 등을 통해 결제 인증을 해줘야합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두 번째 사진처럼 "리더기 가까이 들고 있으십시오."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해당 상태로 결제가능 단말기에서 결제하시면 됩니다.
애플워치에서 애플페이로 결제 하는 방법
애플워치에도 애플페이에 카드를 등록한 경우 측면 버튼을 이중 클릭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리더기 가까이 들고 있으십시오."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결제하려는 카드가 맞는지 확인한 후 결제단말기에 접촉하면 됩니다.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은?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애플페이는 기존의 카드 결제(IC/MS)와 다른 RF(NFC) 방식을 사용합니다. 기술적으로는 EMV Contactless Level 1 이상의 인증이 취득된 기기에서 가능한데요, 일반 소비자가 일일이 확인하기에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알아보자면, 오른쪽 사진처럼 옆으로 누운 와이파이 로고, 카드를 위에 올려두는 모습이 그려진 결제단말기에서는 보통 애플페이(비접촉 결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부 가맹점에서는 애플페이 결제가 차단되었거나 EMV 인증을 받지 못한 단말기 등 사유로 인해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니 아직까지는 실물 결제 카드나 다른 지불 수단을 가지고 다니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은 빠른 시일 내에 보완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23년 3월 19일 기준,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매장/프랜차이즈는 아래와 같습니다. (본 리스트에 없어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스트에 있는 경우에도 키오스크에서는 불가능하며 카운터결제만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업종명 | 사용 가능한 매장 | 비고 |
편의점 |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스토리웨이 | |
대형마트/백화점 | 대형마트: 롯데마트, 롯데슈퍼, 홈플러스, 농협 하나로마트, GS 더프레시, 초록마을, 다이소 백화점: 더현대, 롯데백화점, AK플라자 아울렛: 롯데아울렛 |
이마트 결제 불가(신세계계열) |
디저트 | 크리스피크림, 롯데리아, 맥도날드, 배스킨라빈스, KFC, 파리바게뜨 | |
커피 | 투썸플레이스, 탐앤탐스, 빽다방, 이디야커피, 메가커피, 더벤티, 아마스빈, 디저트39, 할리스커피, 파스쿠찌, 풀바셋, 엔제리너스, 공차 | 스타벅스 결제 불가(신세계계열) |
식당 | 봉추찜닭, 김가네 | |
여가 | 롯데시네마, 영풍문고, 알라딘 | |
주유소 | GS칼텍스 | |
호텔/리조트 | 한화리조트 | |
기타 |
애플스토어, 프리스비, 하이마트, 이케아, 아트박스, 삼성전자서비스 |
애플페이가 지원되는 카드 단말기는 보통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가맹점에서 지원하지 않거나 차단되지 않은 경우 보통 사용 가능하니 참고하여 애플페이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미지의 저작권은 각 업체에 있습니다.)
애플페이로 교통카드도 사용이 가능할까?
삼성페이에서는 모바일 티머니, 캐시비를 지원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휴대폰을 교통카드 단말기에 태그한다면 교통카드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에 있는 애플페이도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긴하는데요, 하지만 일본의 스이카(Suica), 파스모(Pasmo)와 중국, 그 외 해외에서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 있는 교통카드인 티머니와 캐시비, 레일플러스 교통카드는 아직 지원되고 있지 않습니다.. 만, 아이폰에서도 교통카드가 개발되고 있다는 루머가 있으니 올해 안으로(?) 희망을 가져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청소년도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을까?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는 10대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어서, 아마 이 부분에도 궁금증이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가능" 합니다. 애플페이가 출시된 현재, 현대카드만 지원하므로 청소년 명의의 현대카드 체크카드를 만들거나(만12세이상) 가족카드(청소년 명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 연회비 없는 체크카드에는 SC제일은행과 제휴상품인 M-CHECK와 X-CHECK가 있습니다.
미성년자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월실적이 없습니다. 각각 포인트 적립/캐시백 혜택이 있습니다.
영수증에 표시된 카드 번호와 실제 카드 번호가 달라요.
실제 카드 번호와 영수증에 기재된 카드 번호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보안 및 국내전용카드 애플페이 지원을 위해 가상 카드번호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플페이로 결제한 건에 대한 환불/재결제/결제취소시에는 결제한 기기의 애플페이로만 가능합니다. (애플워치에 등록된 애플페이로 결제 후 실물카드 및 아이폰에 등록된 애플페이로 취소 불가)
참고용) 애플페이 결제 시 표기될 수 있는 카드 번호 앞자리(BIN)
4218-10XX-XXXX-XXXX
4219-23XX-XXXX-XXXX
4862-30XX-XXXX-XXXX
4927-52XX-XXXX-XXXX
4930-20XX-XXXX-XXXX
4930-64XX-XXXX-XXXX
4800-7400-XXXX-XXXX
4800-7412-XXXX-XXXX
4800-7413-XXXX-XXXX
4800-7429-XXXX-XXXX
5202-15XX-XXXX-XXXX
5202-17XX-XXXX-XXXX
5230-40XX-XXXX-XXXX
5258-72XX-XXXX-XXXX
아이폰에 교통카드 스티커를 부착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스티커를 제거해야할까요?
교통카드에서 사용하는 결제규격과 애플페이 결제를 위한 규격이 다릅니다. 따라서 제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추가로 애플페이는 휴대폰의 뒷면을 태그해야하는 삼성페이와 다르게 앞쪽 상단/뒤쪽 상단 두 군데에서 태그해도 결제할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에서도 애플페이를 쓸 수 있나요?
애플페이 또는 비접촉 결제를 지원하는 국가에서도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외 결제로 구분되며 카드에 따라 수수료가 있을 수 있으니 해당 부분은 사용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국내 전용 카드는 해외 결제가 불가하거나 해외에서 결제 시 수수료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현대카드 말고 다른 카드사의 카드는 사용할 수 없나요?
애플페이는 현대카드를 통해 먼저 대한민국에 도입됨으로써 현대카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한카드와 국민카드 등 여러 카드사가 애플페이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상태이고, 시간이 지나면 여러 카드사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애플페이 도입 초반기에는 현대카드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애플페이 도입 초반기인 지금, 아이폰을 사용하는 유저의 경우 지갑을 들고 다녀야 했던 아쉬움이 해결되어 기쁘기도 하겠지만, 현대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현대카드밖에 지원되지 않다는 사실이 아쉽게 느껴지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다. 하지만 추후 시간이 지나며 애플페이 지원 카드사가 현대카드에서 여러 카드사로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카드사의 애플페이 지원과 애플페이를 통한 교통카드 기능도 빠른 시일 내에 지원되기를 희망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