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카드 비교 및 실사용 후기
- 금융
- 📚 to read
감염병 관련 규제 완화와 환율도 한몫한 덕분에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옛날에 해외여행을 갈 때는 가려는 국가의 통화를 현찰로 환전해 현금으로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았는데, 환전할 때 수수료도 든다는 문제가 있고 현금이기에 휴대가 불편하며 쓰다 남을 경우 처리하는 것도 곤란하다는 점이 있었습니다.
저도 해외여행을 준비하면서 환전에 대해 정보를 찾아보며 트래블월렛 카드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해외결제수수료, 환전수수료가 없고 통화를 미리 충전해 사용하는 카드라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트래블월렛 카드와 트래블로그 카드를 발급해보며 실제 사용해보고 후기를 작성해보며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트래블월렛은 트래블페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보통 카드에서 부과되는 해외결제 수수료(건당 $0.5 + 브랜드 수수료 1%)가 완전 무료이고, 실시간 환율로 15개의 외화를 충전할 수 있으며 현지 ATM에서 미리 트래블월렛에 충전해둔 금액을 출금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트래블로그카드는 하나머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합니다. 트래블월렛 카드와 마찬가지로 수수료가 없으며 트래블로그는 8개의 외화를 지원합니다. 자세한 지원 외화와 카드 정보는 아래에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트래블월렛은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를 지원합니다. 모바일카드 같은 경우에는 해외 직구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고 보면 되고, 실물카드의 경우 해외에서 사용할 때 특화된 카드입니다. 국내가맹점에서의 사용은 불가합니다.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가 나눠져있어 해외 쇼핑몰에서 직구만을 위해 카드를 발급한다면 실물카드의 발급이 필요 없고 모바일 카드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트래블월렛에서 지원하는 외화:
미국(달러), 유럽(유로), 영국(파운드), 일본(엔), 중국(위안), 태국(바트), 베트남(동), 필리핀(페소), 인도네시아(루피아), 말레이시아(링깃), 홍콩(달러), 싱가폴(달러), 호주(달러), 캐나다(달러), 대만(달러)
트래블로그에서 지원하는 외화:
미국(달러), 유럽(유로), 영국(파운드), 일본(엔), 중국(위안), 싱가포르(싱가포르달러), 캐나다(캐나다달러), 호주(호주달러)
트래블로그와 트래블월렛 카드는 비슷합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원하는 시점에(환율에) 해당 외화를 선불카드에 충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충전 수수료 없이 해당 시점의 환율에 100% 환전이 가능합니다. 충전해둔 외화를 다 쓰고 남았다면, 매도 환율을 적용해 전액 환불 또한 가능합니다. 환불의 경우 트래블월렛 카드는 수수료가 없고, 트래블로그의 경우 환불 수수료가 존재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 표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트래블월렛 카드와 트래블로그 카드 모두 해외 ATM에서 외화 출금이 가능합니다. 단 출금시에 다른 ATM을 이용할 경우 ATM에서 출금수수료가 별도로 부과될 수 있으니 해당 부분은 꼭 확인해야합니다. 커뮤니티에 미리 검색하셔서 미리 출금해보신분들이 많은 ATM에서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ATM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글 하단에 표를 확인해 주세요!
두 카드 모두 비접촉 결제 기능인 Master Tap&Go와 VISA Contactless 탑재되어있어, 위 그림과 같은 로고가 있는 NFC 결제단말기에서 카드 태그만으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실제 사용해보면서 IC카드를 삽입하거나 마그네틱을 읽을 필요 없이 교통카드처럼 단순히 태그하는 방식이어서 정말 편했습니다. 국내에도 더욱 확산되었으면 하는 마음..
이런식으로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앱을 이용해 외화 충전이 가능합니다. 트래블월렛의 최소 충전금액은 한화 약 5만원정도이고(환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략) 연 최대 충전금액이 100,000 USD입니다. 충전은 은행계좌를 등록해 오픈뱅킹으로 이루어집니다. 트래블로그는 대략 1,000원같은 소액부터 충전이 가능하나 하나금융그룹의 계좌를 보유해야 합니다. 두 카드 모두 수수료 없이 적용환율 100% 환전됩니다.
유의하셔야 하는 점이 있다면, 사용하는 국가의 통화와 충전한 통화가 일치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본여행에 가서 엔화로 결제할 때 달러를 충전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카드 모두 계좌출금금액에 적힌 금액 그대로 100% 출금되고 충전할 경우에는 선불충전금에 엔화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이용내역을 앱에서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트래블로그는 하나카드앱과 하나머니앱으로 푸시알림이 오고, 트래블월렛 카드 승인/거절알림은 카카오톡 알림톡을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트래블월렛과 비슷한 카드가 하나카드에서 트래블로그 체크카드도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의 트래블로그 카드는 왼쪽에 있는 카드로 제가 발급한 카드는 여권형 입니다.
이번에 일본 여행을 가면서 두 카드를 모두 들고가서 사용해보았습니다.
1. ATM 현금 인출(트래블로그-수수료없음)
먼저 현금이 필요해 트래블로그 체크카드로 ATM을 이용했습니다. 이용한 ATM은 세븐뱅크(SEVEN BANK) ATM으로 한국어도 지원합니다. 카드를 넣고 출금을 선택하고 카드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우리나라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듯이 수수료 없이 출금요청한 금액 그대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인출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 처럼 약 4천원정도의 수수료가 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카드 결제(좌-트래블로그, 우-트래블월렛)
왼쪽 사진이 트래블로그, 오른쪽 사진이 트래블월렛 사진입니다. 두 카드 모두 비접촉 결제를 지원해 카드를 단순 태그만으로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었고 수수료도 없었으며 트래블로그는 중간에 부족해서 한번 현지에서 충전도 하였습니다.
두 카드 모두 여행하는데 큰 문제는 없었지만 호텔 조식을 결제할 때 비자(VISA)카드만 결제가 가능했던 곳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마스터카드인 하나 트래블로그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했고 비자카드인 트래블월렛카드로만 결제하거나 현금 결제만 가능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외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트래블로그카드는 하나금융그룹의 계좌만 연결 가능하다는 점이 있으며 해외결제브랜드가 마스터카드 입니다. 자세한 차이점은 아래에 표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https://ittime.kr | 하나카드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 트래블월렛 카드 |
지원 통화 | 8개[미국(달러), 유럽(유로), 영국(파운드), 일본(엔), 중국(위안), 싱가포르(싱가포르달러), 캐나다(캐나다달러), 호주(호주달러)] ※ 23/01/31에 추가되었습니다. |
15개[미국(달러), 유럽(유로), 영국(파운드), 일본(엔), 중국(위안), 싱가포르(싱가포르달러), 캐나다(캐나다달러), 호주(호주달러), 태국(바트), 베트남(동), 필리핀(페소), 인도네시아(루피아), 말레이시아(링깃), 홍콩(홍콩달러), 대만(대만달러)] ※ 트래블월렛에서만 지원(트래블로그 X) |
결제 수수료 | 0% | 0% |
출금 수수료(현지) | - master, cirrus 로고가 있는 ATM(마스터카드 로고가 있는 ATM)에서 출금 수수료 무료 - 일부 ATM에서 수수료가 별도 부과될 수 있음 |
- VISA ATM에서 출금 수수료 무료 - 일부 ATM에서 수수료가 별도 부과될 수 있음 |
충전 방법 | - 하나머니 앱을 통해 해당 시점 환율 100% - 하나금융그룹(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저축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충전 가능 |
- 트래블월렛 앱을 통해 해당 시점 환율 100% - 시중은행 및 증권사 계좌 등록을 통해 오픈뱅킹으로 출금되어 충전 |
환불 수수료 | 5% | 0% |
해외원화결제서비스 (DCC) |
불가 | 불가 |
국내이용가능 | - 국내 이용 가능[전월실적 관계없이 국내 가맹점 이용 시 0.3% 하나머니 적립] - 국내 후불교통카드 지원 |
- 국내 이용 불가 |
해외브랜드 | MASTER | VISA |
비접촉결제 | 지원(Master Tap&Go) | 지원(VISA Contactless) |
카드디자인 | 기본형, 여권형 | 기본형 |
카드발급수수료 | - 2,000원 | - 0원 |
트래블로그 카드는 혁신금융서비스로 하나머니를 통해 하나금융그룹(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저축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충전이 가능하고 환불 수수료가 5%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이 있긴 해도 제가 발급받은 트래블로그 여권형 디자인이 트래블월렛 카드보다 디자인도 더 예쁘고,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금융사인 하나금융그룹에서 운영중이라 저는 트래블로그 카드를 해외에서의 주 결제카드로 사용하고 트래블월렛 카드를 서브카드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하나은행 계좌가 있다면 트래블로그카드도 괜찮지만, 계좌가 없는 경우 굳이..? 라는 생각이 듭니다. 환불수수료도 있고, 게시글 작성일 기준으로 올해까지 발급수수료가 없긴 하지만 카드발급수수료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혹시 모르니 해외에서 사용이 가능한 카드는 여유롭게 2개정도는 가져가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까 게시글에서 언급했던 것 처럼 특정 카드결제브랜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외 여행이나 직구때문에 위처럼 외화선불충전카드를 사용하시려는경우 사용 패턴과 위 표 등을 잘 고려해보셔서 결정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즐거운 여행 되세요✈️